우리가 마시는 와인의 맛과 향이 천차만별로 다르게 느껴지는 것은 와인을 만드는데
가장 기본이 되는 포도의 종류, 즉 포도 품종의 다양함에서 기인한다. 물론 같은 품종으로
만든 와인이라도 재배 지역, 숙성 조건, 생산 회사, 다른 품종과 섞는 비율에 따라 향과 맛이
달라지기도 하지만 대개는 품종의 색깔, 향과 맛에 유사성을 띠기 때문에 포도 품종을 알면
그만큼 와인을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이 된다.

전 세계의 포도 품종은 8천여 종으로 여느 과일보다 종류가 다양하다.
그러나 정작 와인을 만들 수 있는 품종은 60여 개에 불과하다.
즉, 와인다운 와인을 만드는 데는 그 품종의 종류가 다소 한정돼 있다는 것이다.

와인을 만드는 포도 품종은 크게 적포도와 백포도로 구분된다.
그러나 때에 따라서는 레드와인을 만드는 품종으로 화이트와인을 만들기도 한다.
그 대표격인 샴페인은 ‘피노누아’라는 레드와인 품종을 백포도와 블렌딩해 만드는,
조금 색다른 방식의 생산 과정을 갖기도 한다.
그러나 적포도나 백포도로만 만드는 와인일지라도 품종의 장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같은
계열의 포도 품종을 블렌딩해서 보다 질 좋은 와인을 생산해 제공한다.

와인 만드는 포도 60여 품종

일반적으로 레드와인을 만드는 품종은 카베르네 소비뇽(Cabernet Sauvignon), 메를로(Merlot), 시라(Syrah) 또는 시라즈(Shiraz), 진판델(Zinfandel),
가메이(Gamay), 산지오베제(Chardonnay) 등이 있으며, 화이트와인을 만드는 품종은 샤도네이(Chardonnay), 리슬링(Riesling), 세미용(Semillon),
소비뇽 블랑(Sauvignon Blanc), 게뷔르츠트라미너(Gewurztraminer) 등이 대표적으로 사용된다.

요즘 대형 할인매장에서 쉽게 볼 수 있는 와인의 종류를 보면 크게 구세계 와인과 신세계 와인으로 구분된다.

여기서 구세계 와인이란 전통적인 방식으로 와인을 생산하는 프랑스, 이탈리아, 독일, 스페인 같은 나라에서 생산되는 와인을 말하는데, 대개 구세계의 와인들은 와인의 레이블에 포도 품종이 표기돼 있지 않은 경우를 자주 보게 된다.
그 이유는 포도 품종의 블렌딩으로 인해 품종보다는 생산지역을 더욱 중요하게 보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와는 반대로 신세계 와인, 즉 신대륙인 미국, 호주, 칠레와 같은 나라들의 와인 레이블에는 포도 품종 표기가 돼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적합한 테루아르에서 생산해 한 가지의 품종만으로 질 좋은 와인을 생산했기에 품종의 중요성을 부각시키기 위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우리가 와인을 선택할 때 포도 품종의 특징에 대해 알고 있으면 와인의 맛을 어느 정도 짐작할 수 있어 와인을 즐기는데 많은 도움이 된다.
차후 각각의 포도 품종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자료 제공 : 대한항공 와인동호회
자료 편집 : 가람수풀(ヤメ先生)™

 

 

  

 


Posted by 가람수풀(ヤメ先生)™
:
가람수풀(ヤメ先生)™
가람수풀(ヤメ先生)™

카테고리

☜[수풀이네 다락방]☞ (460)
일기장 : 주절거림 (49)
일기장 : ♡ Story (77)
주 막 : 酒 Story (67)
주 방 : 食 Story (14)
사진관 : Photo Story (73)
오락실 : Web Game (5)
여행사 : 여행 정보 (25)
강의실 : 공개 강좌 (17)
강의실 : 디카 강좌 (23)
자료실 : 추천 자료 (32)
자료실 : 요청 자료 (4)
자료실 : Free BGM (39)
자료실 : AstroClub™ (35)
연구실 : Exclusion (0)

달력

«   2025/09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오늘 :

어제 :

전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