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화 "봄 여름 가을 겨울 그리고 봄"을 아시나요? |
|
|

|
제목 |
봄 여름 가을 겨울 그리고 봄 |
|
(Spring Summer Fall Winter and Spring) |
제작연도 |
2002년 5월 (봄), 8월(여름), 11월(가을), 2003년 1월(겨울), 3월(봄) |
개봉일시 |
2003년 9월 19일 |
장르 |
드라마 |
상영시간 |
106분 |
감독 |
김기덕 |
출연 |
오영수(노 스님 역), 김종호(동자 승 역), 서재경(소년 승 역), 김영민(청년 승 역), 김기덕(장년 승 역) |
|
하여진(소녀 역), 김정영(소녀 모 역), 지대한(지 형사 역), 최민(최 형사 역), 박지아(아기 모 역), 송민영 (아기 역) |
등급 |
15세 관람가 |
제작 |
대한민국 |
|
| |
|
|
줄거리 |
|
|
사계절에 담은 인생의 비밀 만물이 생성하는 봄. |
|
|
숲에서 잡은 개구리와 뱀, 물고기에게 돌을 매달아 괴롭히는 짓궂은 장난에 빠져 천진한 웃음을 터트리는 아이. |
|
|
그 모습을 지켜보던 노승은 잠든 아이의 등에 돌을 묶어둔다. |
|
|
잠에서 깬 아이가 울먹이며 힘들다고 하소연하자, 노승은 잘못을 되돌려놓지 못하면 평생의 업이 될 것이라 이른다 아이가 자라 17세 소년이 되었을 때, 산사에 |
|
|
동갑내기 소녀가 요양하러 들어온다. |
|
|
소년의 마음에 소녀를 향한 뜨거운 사랑이 차오르고, 노승도 그들의 사랑을 감지한다. |
|
|
소녀가 떠난 후 더욱 깊어가는 사랑의 집착을 떨치지 못한 소년은 산사를 떠나고... |
|
|
절을 떠난 후 십여년 만에 배신한 아내를 죽인 살인범이 되어 산사로 도피해 들어온 남자. |
|
|
단풍만큼이나 붉게 타오르는 분노와 고통을 이기지 못하고 불상 앞에서 자살을 시도하자 그를 모질게 매질하는 노승. |
|
|
남자는 노승이 바닥에 써준 반야심경을 새기며 마음을 다스리고... |
|
|
남자를 떠나보낸 고요한 산사에서 노승은 다비식을 치른다. |
|
|
중년의 나이로 폐허가 된 산사로 돌아온 남자. |
|
|
노승의 사리를 수습해 얼음 불상을 만들고, 겨울 산사에서 심신을 수련하며 내면의 평화를 구하는 나날을 보낸다. |
|
|
절을 찾아온 이름 모를 여인이 어린 아이만을 남겨둔 채 떠나고... |
|
|
노인이 된 남자는 어느새 자라난 동자승과 함께 산사의 평화로운 봄날을 보내고 있다. |
|
|
동자승은 그 봄의 아이처럼 개구리와 뱀의 입속에 돌맹이를 집어넣는 장난을 치며 해맑은 웃음을 터트리고 있다. |
|
|
|
|
|
오랜만에 아름다운 영상과 생각을 할 수 있는 영화 한 편을 보았습니다. |
|
|
이미 극장에서 개봉한지 7년이라는 시간이 흐른 작품인 김기덕 감독의 "봄 여름 가을 겨울 그리고 봄"이란 영화... |
|
|
김기덕 감독의 작품은 단시간내에 만들기로 유명하지만 이 작품은 1년이라는 시간동안 봄, 여름, 가을, 겨울 그리고 봄이라는 제목처럼 4계절의 변화를 함께하면서 |
|
|
촬영을 하였던 작품이라는 것이다. |
|
|
당시 국내 배급사나 필름 마켓이 아닌 외국의 제작사와 배급사가 참여를 해서 관심을 받기도 했던 작품이 바로 이 작품이였다. |
|
|
|
|
|
주왕산국립공원에 소속이 되어진 주산지에서 영화의 주무대가 되는 암자와 대문이 만들어지고 주산지라는 곳의 아름다운 4계절의 모습을 영화 속에 담아 보여준다. |
|
|

|
영화의 시작은 봄... |
어린 시절의 모습으로 4계절이 변하면서 주인공이 성장하고 그로 인해 발생되는 사건들을 보여 준다. |
호수 한 가운데 떠 있는 암자의 모습이 보이고 철 없는 동자 승과 늙은 노승만이 함께 사는 공간이 마치 |
영화를 보는 이에게 암자로 향하듯 문이 열리면서 암자로 흐름을 안내한다. |
자연과 조화된 삶에서 노승은 어린 동자 승에게 가르침을 주면서 그렇게 영화의 흐름은 진행이 되어진다. |
바지선 위에 마련된 암자의 세트장에서 영화는 대부분 진행이 되어진다. |
과녕 현실 속에 저런 신비한 느낌의 암자가 있다면 어떨까하는 생각도 하면서 영화 속으로 들어간다. |
| |
|
|
여름... |

|
어린 동자는 어느덧 소년의 시절의 모습으로 계절이 변하면서 성장하여 새로운 시작을 알리듯이 |
늙은 노승과 함께 사는 공간으로 새로운 인물이 찾아오고 소년은 소녀를 동경하면서 사랑을 알게된다. |
그리고 소녀도 점차적으로 마음을 열고 함께 지낸다. |
병을 치유하기 위해 찾아 온 소녀로 인해 소년은 동경과 사랑을 하면서 연민으로 방황을 느끼게 되고... |
소녀는 병이 치유가 되고 다시 자신이 살 던곳으로 되돌아 간다. |
처음 올 때와는 다르게 소녀는 암자에 있는 소년에게 끌리고... |
소년도 소녀를 잊지 못하고 소녀를 찾아 떠난다... | |
|
|

|
가을... |
홀로 남은 노승만이 암자를 지키면서 세월의 흐름을 말해주고 소녀를 찾아 떠난 소년이 30대의 청년이 되어 |
자신의 아내를 살해하고 도망자가 되어 암자로 찾아온다. |
주왕산 자락의 주산지의 아름다운 붉은 단풍이 화려하지만 영화 속의 흐름으로 인해 화려해 보지 않고 |
노승은 청년에 된 승을 마중나와 태우고 암자로 들어가고 그동안 삶 속에서 괴로움과 집착으로 인한 자신의 |
모습에 화를 내고 자살을 하려고 하지만 노승에 의해 이루워지지 않고 노승은 다시 청년에게 마음을 다스리는 |
것을 지시하게 되고... |
| |
|
|
청년은 노승의 말에 따라 노승이 바닥에 적어준 반야심경을 자신의 아내를 죽인 칼로 한자 한자 파기 시작 |

|
하자 청년을 잡으로 온 형사가 암자까지 찾아오게 되지만 노승의 부탁으로 바닥의 글을 다 팔 때까지 대리고 |
가는 것을 잠시 미루고 청년은 뉘우치는 마음으로 글을 판다. |
청년은 그렇게 자신의 죄 값을 치루기 위해 형사를 따라 다시 세상으로 나간다. |
노승은 그렇게 청년을 말 없이 떠나보낸다. |
노승은 자신이 떠날 때가 되었음을 알듯이 조용히 자신의 다비식을 스스로 준비를 하고 시행을 한다. |
|
| |
|
|

|
겨울 그리고 봄 |
자신의 죄에 대한 대가를 치루고 암자로 돌아온 장년 승은 암자를 정리한다. |
노승의 사리도 수습하고 암자에서 새로운 생활을 시작한다. |
그리고 새로운 인연의 시작을 알려주듯이 지난날 자신이 암자로 온 것처럼... |
자신만의 수련을 하기 시작하고 그렇게 자신에게 찾아온 겨울의 인연을 보낸다... |
다시 찾아 온 봄... |
자신이 어린시절 하였던 행동을 알고 있었는지 지난 겨울 암자가 내려다 보이는 산꼭대기에 불상을 두고 온 |
불상이 이런 모습을 말 없이 보고 있는 것으로 영화는 끝이 난다. | |
|
|
이 영화는 4계절이라는 자연적인 소재에서 인간의 성장과 그 속에서 동반되는 여러 가지 |

|
모습을 단순하게보여주지만 그 내면에는 김기덕 감독만의 특색이 묻어서 영상과 함께 |
전달을 하고 있다. |
김기덕 감독의 모습을 이 영화를 보고 난 뒤에 잠시 기억의 한쪽에 있을 무렵... |
2005년 부산국제영화제 "청연"의 영화 홍보의 파티장에서 감독의 모습을 보았을 때 |
영어로 인사를 하거나 외국 기자 혹은 감독들과도 함께 하는 자리에 서슴없이 영어로 |
대화를 직접 하던 그모습과 더불어 다른 감독이나 배우들이 격식을 차려 입고 오는 자리에 |
옆의 사진처럼 모자와 점퍼 차림으로 당당하게 그들과 함께 이야기도 나누면서 어울리는 |
모습에 더욱 더 인간적인 모습이 마음에 다가오고 있었다. |
자신의 영화를 알아주는 단 1명의 관객이 있다면 영화를 만든다는 신념에 존경이라는 말이 |
와 닫고 있었다. |
| |
|
|
7년이란 시간 속에 잊혀진 영화... |
|
|
지금 사진을 찍으러 다니는 나에게 이영화가 촬영된 곳이 주산지라는 것을 알게되고 주산지를 갔을 때 그냥 물 위에 띄워진 세트장이나 촬영을 한다고 했을 때에 |
|
|
그냥 뭐 찍는가보네 하면서 넘겼던 곳에서 이런 멋진 영상을 위해 1년이라는 긴 시간동안 촬영을 하고 자연의 소재를 그대로 영화 속에 이용을 하여 만들어진 |
|
|
"봄 여름 가을 겨울 그리고 봄" |
|
|
지금 다시 봐도 아름다운 주산지의 4계절의 변화와 더불어 4계절의 계절마다 인생의 4가지 부분을 접목하여 불교의 인연과 업보 등을 이야기하는 동시에 감독만의 |
|
|
이야기도 함께 전하고 있었기에 다시 이 영화를 선택하여 보게 되었고 이렇게 7년이라는 긴 시간이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좋은 느낌과 생각을 떠올리는 동시에 |
|
|
나의 모습을 되돌아 볼 수 있는 시간을 만들어주는 소중한 영화가 되었다. |
|
|
|
|
|
여러분도 다시 한번 보고 싶은 영화가 있습니까? |
|
|
국내에서는 많은 관객이 없지만 해외에서는 인기 있는 감독의 작품 중의 하나인 이영화를 한번 보시길 바랍니다. |
|